- 기초 프로젝트 회고
- 다음 프로젝트 반영사항
- 기초 프로젝트 회고
1. 아쉬운 점
1.1. 기초프로젝트의 주제는 "서울시 부동산 거래 시장"이었다. 분석 후 발표까지 완성을 했지만, 시간상 담아내지 못 한 것들이 너무 많았다.
가령)
- 발표 진행 도중
"워낙 전문적이고 외부요인이 많은 영향을 끼치는 [부동산]영역이기에 분석 결과를 통한 "결론이 수비적, 조언의 성격을 가질 것이라 생각하여 투자자를 구체적으로 타겟팅해 분석한다"라는 언급 없이 가다보니 청자가 발표 흐름을 따라오지 못하는 느낌이 있었다.
- 원본 사이트가 서울시 열린데이터광장이고 그들의 수집 기준과 법과 시행령상의 변화로 인해 데이터를 전처리함에 있어
"[시기]를 계약일 기준으로 잡아야한다는 점(접수연도로 나열되어 있으나 원천 사이트에 저장된 데이터 풀이 많아서 생긴 이상치, 원천 사이트 자체에서 조사 및 저장하는 기준이 다르기에 생긴 문제)"
"18년도에는 공인중개사의 자체신고 컬럼이 비어 있으나 법령 개정으로 인해 공인중개사의 자체신고가 생기면서 20년도에 자체신고 횟수가 많아지는 점.)"
- 발표의 상세 설명에서
"토지면적 및 건물 면적을 통해 건폐율(건물면적/토지면적), 용적률(층별 누적 건폐율)을 구한 뒤 '위생'과 '조경시설', 20년도의 '부동산 트렌드'가 건폐율이 낮은 아파트인 점을 연결해 투자시 추가 조언요소로 언급 가능, 즉, 신-구축에 관한 확장적 언급 가능"
# 등등 여러 요소를 반영할 수 있으나 자체 발표 내용도 많았기에 필요한 부분을 고르기 위해 누락된 점은 아쉬웠다.
1.2. 투자자의 기본 설정을 한 뒤에 상세한 설정으로 들어가며 어쩔 수 없이 2개의 팀으로 조원들이 분산되었는데, 차후 발표를 위해 자료취합 과정에서 서로가 담고자 하는 내용을 명확히 파악할 수 없어 너무 힘들었다.
조원을 나눠서 팀을 짜더라도 차후 분석한 코드들을 공유! 팀으로 조사한 내용을 요약할 수 없더라도 무엇을 하고자 했는지 알 수 있었으면 좋았을 것 같았다. # 특히 테이블 통합 데이터를 변수에 담을 때 변수명을 통합시키는 것이 필요해 보였다.
1.3. 계속된 내용 수정 및 발표대본을 짜게 되면서 자료취합을 하는 역할을 반드시 설정해야 함을 느꼈다. 자료취합 역할이 없으니 필요한 부분과 부족한 부분, 추가로 해야 할 부분 등을 파악하기 힘들었다.
- 다음 프로젝트 기간 반영사항 및 프로젝트 진행 전 목표
[목표]
- 내가 하지 못한 공부들 정돈하고 한 번씩 리뷰
- 통계학 및 머신러닝 내용 공부하기!
- 자격증 준비하기
- 도메인 영역설정 및 관련 용어 공부하기!
'내일배움캠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데이터 분석 트랙 35일차 (25.04.01.) TIL (0) | 2025.04.01 |
---|---|
데이터 분석 트랙 34일차 (25.03.31.) TIL (0) | 2025.03.31 |
데이터 분석 트랙 5주차 (25.03.23.) W.I.L. (1) | 2025.03.23 |
데이터 분석 트랙 4주차 (25.03.16.) W.I.L. (0) | 2025.03.16 |
데이터 분석 트랙 19일차 (25.03.14.) TIL (0) | 2025.03.14 |